추운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실내에서 난방 용품 사용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핫팩, 전기장판, 온수매트와 같은 용품들은 자칫 잘못 사용할 경우 나도 모르는 사이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사용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겨울철 저온 화상 증상과 치료,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온 화상
저온 화상은 일반적으로 화상을 유발하는 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 즉 40-50도 전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노출되어 입는 화상을 의미합니다. 저온 화상은 앞서 언급했듯이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는 핫팩, 전기장판 등의 난방 용품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처럼 저온 화상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서 서서히 발생하다 보니 통증을 비롯한 화상 관련 증상을 쉽게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온 화상 증상
저온 화상의 초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발적하고 붉어지며 따끔거리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색이 변하고 가려움이나 물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증의 경우 심한 통증과 감각상실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경, 혈관, 근육 등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저온 화상 진단
저온 화상은 주로 피부색 변화, 발적 및 통증 정도, 감각상실 여부 등 환자의 증상을 고려하여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만약 중증 저온 화상이 의심될 경우 조직 손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X선이나 기타 영상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피부 및 조직의 혈류 확인을 위한 검사 또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저온 화상 치료
저온 화상이 발생했을 경우 가장 먼저 차가운 물이나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화상 부위에 열기를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빠르게 열을 식히기 위해 화상 부위에 얼음을 직접적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부위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저온 화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을 식히는 과정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차 감염이 되지 않도록 긁거나 수포를 터뜨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적절한 드레싱이나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신속히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저온 화상 예방법
저온 화상 예방법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핫팩, 전기장판, 온수매트 등 난방 용품을 적절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핫팩을 사용할 경우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반드시 옷 위에 붙이도록 하며, 한 부위에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사용 시에는 위에 두꺼운 이불이나 매트를 깔고 사용하도록 합니다. 온도는 40도 아래로 체온과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타이머 예약 등을 통해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저온 화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온풍기나 난로는 최소 1m 이상 적정 거리를 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 건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독한 가려움 화폐상 습진 동전 습진 원인 증상 치료방법 (1) | 2024.01.02 |
---|---|
몸에 나타나는 붉은 반점? 피부 감기 장미색 비강진 증상 치료법 (2) | 2023.12.30 |
가렵고 붉은 얼굴 지루성 피부염 완치할 수 있을까? 지루성 피부염 치료 (0) | 2023.12.22 |
재발하는 주부습진, 가려움 피부 벗겨짐 습진 올바른 관리 방법 (0) | 2023.12.20 |
추울때 나타나는 한랭 두드러기 증상과 예방법, 겨울철 피부 가려움 (0) |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