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필요 정보

국민연금 수령나이 정리 (2025년 기준) 조기·연기·신청 절차까지

by healbeauty 2025. 5. 1.
반응형

국민연금 수령나이 정리 (2025년 기준) 조기·연기·신청 절차까지

✍️ 필자의 이야기
지난해 엄마가 1962년생으로, 63세에 국민연금을 신청하려다 보니 “내 나이는 도대체 언제부터 받을 수 있지?”라며 헤맸던 기억이 납니다. 같은 제도가 세대별로 적용 나이가 달라지니, 본인의 정확한 수급 개시 연령을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것은 꼭 필요합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완전 정리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기본 수급 개시 연령’과 ‘조기·연기 수령 선택’을 포함합니다.
최신 개정 법령과 정부 발표 자료를 기반으로 2025년 기준 정보를 한눈에 확인해 보세요!


1. 기본 수급 개시 연령

출생연도 수급 개시 연령
1952년 이전 만 60세
1953~1956년생 만 61세
1957~1960년생 만 62세
1961~1964년생 만 63세
1965~1968년생 만 64세
1969년 이후 출생 만 65세

※ 최소 가입 기간(120개월) 충족 후, 수급 개시 연령의 생일이 지난 다음 달부터 신청 가능


2. 조기수령과 연기수령

  • 조기 수령: 기본 연령보다 최대 5년 앞당겨(최대 만 55~60세) 수령 가능. 수급 연기 기간에 따라 지급률 차감(70%~94%)
  • 연기 수령: 기본 연령에서 최대 5년 연기(최대 만 70세) 가능. 연 7.2%씩 연금액 증가
TIP: 생활비 여유가 있다면, 연기 수령을 통해 평생 연금액을 극대화하는 전략도 고려해 보세요.

3. 2025년부터 검토 중인 연금 개혁 방향

  • 의무가입 연령 상향: 59세 → 64세로 상향 논의 중
  • 수급 개시 연령 단축: 기대수명 증가에 따라 65세 기준 재검토 의견도 있음

4. 신청 절차 및 유의 사항

  1. 온라인 신청: 공단 홈페이지·모바일앱 로그인 → '노령연금 신청' 메뉴 → 서류 없이 신청
  2. 서류 제출: 공적 데이터 연계로 진단서·등본 자동 수집
  3. 지급 시기: 신청 월의 다음 달 25일
  4. 유의 사항: 가입 기간 미달 시 반환일시금 지급 / 조기·연기 수령 비율 확인

자주 묻는 질문 (FAQ)

수급 개시 연령에 도달했는데, 바로 연금을 받을 수 없나요?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채우지 못했다면 ‘반환일시금’이 지급됩니다. 가입 기간을 채웠다면 생일 다음 달부터 신청 후 연금 지급이 시작됩니다.
조기 수령 시 연금액은 얼마나 줄어드나요?
수급 연기 기간 1년에 지급률이 6~7%씩 차감됩니다. 예: 3년 빨리 받으면 약 18% 감소
연기 수령 시 연금액은 얼마나 늘어나나요?
연기 1년당 약 7.2%씩 연금액 증가 → 5년 연기 시 약 36% 더 받음


출처

  1. 보건복지부, “연금급여 수급 개시 연령 표”, 2025
  2. 국민연금공단, “노령연금·조기·연기 수령 안내”, 2025
  3. 연합뉴스,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령 상향 검토”, 20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