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는 임신 기간 동안 신체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면서 면역 체계에 영향을 주어 감염에 민감해집니다. 그로 인해 감기와 같은 질병에 잘 걸리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임신 중 감기에 걸리면 태아에게 나쁜 영향이 있는 건 아닌지 먼저 걱정을 하게 됩니다. 임신 중 감기에 걸린 경우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산부 감기에 대한 궁금증과 대처법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합니다.
임산부 감기약 복용 괜찮을까?
임신 중 감기에 걸렸을 때 약 복용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가능한 경우 약물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하게 필요한 경우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도록 권합니다. 흔히 임산부 감기에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한 약물 중 하나인 아세트아미노펜은 해열제 및 진통제로 사용되며, 의사가 권장하는 용량대로 복용 가능합니다.
이렇듯 임신 중에는 어떠한 약도 의사의 지시 없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모든 의약품이 임신 중에 안전하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의료 전문가의 지침을 통해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임산부 감기 걸리면 내과? 산부인과?
임산부가 감기에 걸린 경우 일반적으로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증상에 대한 적절한 처방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산부인과 전문의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의학적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기로 인한 합병증이나 기타 문제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호흡 곤란이나 다른 기저질환 등이 있다면 타 과와 협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임산부 기침이 심할 경우 태아에 영향이 있을까?
임산부가 기침이 심할 경우 흔히 복압이 올라가서 태아에게 영향이 가진 않을까 걱정하지만, 사실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일은 드뭅니다. 그러나 기침이 수 주간 지속된다면 기관지염, 폐렴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 감기 대처법
일반적으로 가벼운 감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도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실내에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며 몸의 피로를 최대한 피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면 시일내에 증상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모과차, 대추차 등을 마시는 것 또한 증상을 완화해줄 뿐만 아니라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충분한 휴식을 통해 전반적인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나 심한 고열이나 기침, 콧물 등이 동반된다면 빠르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중에 고열은 특히나 주의해야할 증상이기 때문에 더욱 빠른 치료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임산부가 고열이 나면 태아의 신경관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형의 위험이 증가하고 유산 또는 조산의 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벼운 감기 증상이 아닐 시엔 빠른 시일 내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임신과 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부종 손 발 다리 붓기 원인과 관리 방법 (0) | 2023.12.19 |
---|---|
임신 당뇨 원인과 치료 방법, 임신성 당뇨의 모든 것 (0) | 2023.12.18 |
신생아 젖병 소재 PP PA 실리콘 PPSU 유리, 아기 젖병 비교 및 고르는 방법 (0) | 2023.12.14 |
임산부가 챙겨먹어야 할 비타민, 주기별 필수 영양제 챙기기 (0) | 2023.12.13 |
임산부 목쓰림 역류성 식도염, 약 먹어도 될까?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1)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