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임산부 백일해 주사 필수일까? 접종 시기와 부작용

by happymama 2023. 12. 8.

백일해는 보르데텔라균이란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전염성 질환입니다. 흔히 백일동안 기침을 한다고 하여 백일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주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전파되며, 호흡기 질환인만큼 전염성과 2차 발병률이 높은 편입니다.

 

 

주사기
임산부 백일해 주사

 

 

백일해 주사, 임산부 필수 예방 접종인가?

 

백일해는 특히 영아와 어린아이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에 백일해 접종을 하면 면역체계를 통해 얻은 항체가 태아에게 전달되며, 출생 후에도 생후 2개월까지 백일해에 대한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예방 접종이 임신부와 태아, 신생아에게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임산부 백일해 접종 시기

 

예방 접종 시기는 주로 임신 27주에서 36주 사이에 권장됩니다. 그러나 의료 전문가의 권고에 따라 일정이나 상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상담 후 접종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백일해 주사 부작용

 

백일해 주사는 모든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접종 부위의 통증과 붓기, 미열,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경미하거나 일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혹여 알레르기 반응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즉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편도 백일해 주사를 맞아야 할까?

 

백일해 주사는 주로 임산부나, 영유아에게 권장되는 예방주사이지만 남편이나 조부모 등 접종을 고려할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성인들이 백일해에 감염되면 어린아이들에게 전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가벼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영유아들은 폐렴, 뇌 손상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 접종을 통해 감염에 대한 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와 달리 남편, 조부모 등 신생아와 접촉할 예정인 사람들은 적어도 2주 전에 접종을 완료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