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을 하게 되면 몸에 여러 생리학적, 호르몬적인 변화를 유발하여 입덧이나 소화 불량 등 다양한 증상들로 힘든 시간을 겪기도 합니다. 특히 소화 기관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인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임산부 역류성 식도염 원인
역류성 식도염은 소화액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신 중에는 임신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이 소화기관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증상을 증가시켜 쉽게 소화 불량이나 역류성 식도염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궁이 커짐에 따라 위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의 중간 또는 아래에서 느껴지는 불쾌한 열감이나 화끈 거림입니다. 이 증상은 주로 식사 후나 누워 있을 때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물과 트림이 자주 올라오게 되며, 식도에 음식이 끼어있는 느낌과 더불어 식도 내부의 통증, 기침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임산부 역류성 식도염 약 복용해도 될까?
임산부가 약을 복용할 때에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흔히 임산부가 복용 가능한 약으로 알려져 있는 알마겔은 위산을 중화시켜 속 쓰림 증상을 완화해 줄 수 있으나, 복용 전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고 지시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기간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일부 약물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며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약물 사용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비약물적인 조치나 생활 습관의 개선을 먼저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완화 방법
역류성 식도염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식사 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적은 양의 식사를 여러 번 나눠 먹는 것이 소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식사 후 바로 누워있지 않도록 합니다. 증상을 악화시키는 자극적인 음식, 카페인, 초콜릿, 탄산 음료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소, 곡물 및 견과류와 같은 식이섬유는 소화를 촉진하여 역류성 식도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또한 증상 악화 요인이기 때문에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합니다.
'임신과 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감기약 복용 괜찮을까? 임산부 감기에 대한 궁금증과 대처법 (0) | 2023.12.17 |
---|---|
신생아 젖병 소재 PP PA 실리콘 PPSU 유리, 아기 젖병 비교 및 고르는 방법 (0) | 2023.12.14 |
임산부가 챙겨먹어야 할 비타민, 주기별 필수 영양제 챙기기 (0) | 2023.12.13 |
임산부 백일해 주사 필수일까? 접종 시기와 부작용 (0) | 2023.12.08 |
임신 초기는 왜 중요할까? 고려해야할 사항과 발생 위험들 (2) | 2023.12.07 |